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회복지현장실습
- 서포터즈
- 사회복지지원사업
- 삼성복지재단
- 공모사업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공모전
- 사회복지프로포절
- 대외활동
- 사회복지사1급
- 사회복지배분사업
- 사회복지사자격증취득방법
- 사회복지공모사업
- 아이들과미래
- 요양보호사
- 사랑의열매
- 여성가족부
- 사회복지사
- 프로포절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보건복지부
- 사회복지사 1급 시험
- 한국사회복지관협회
- 지원배분사업
- 자원봉사활동
- 세종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사회복지사자격증
- 자원봉사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우수사례집
- Today
- Total
한국사회복지데이터센터
UN SDGs 보건·복지분야 지표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보고서 본문
UN SDGs 보건·복지분야 지표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보고서
UN SDGs 보건·복지분야 지표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보고서.pdf
보건복지부 정책통계담당관에서는 2016년도 독립된 연구과제로 「UN SDGs 보건․복지분야 지표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를 수행한바 관련 보고서를 게시합니다.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근래 UN이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와 관련하여 우리부가 작성 및 제시가능한 통계를 선제적으로 탐색하고 연구함에 있습니다.
UN에서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밀레니엄개발목표(MDGs)를 종료하고, 새로이 2016부터 2030년까지의 국제사회 공동목표로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를 선정(17개 주목표, 169개 세부목표)하여 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부에서는 UN에서 제시한 지표 가운데 보건·복지분야 관련 지표의 체계적 관리 및 정보 제공을 위하여 각 지표의 유무와 의미 분석, 산출가능성 등을 검토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UN SDGs의 구체적인 이행을 위해 각 지표의 의미를 분석하고 통계의 출처, 산출근거 및 정확성을 확인하고, 향후 통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진행될 UN SDGs의 이행을 위한 보건복지부의 정책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각 지표별 세부목표 이행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우리나라 보건·복지 체계를 반영한 지속가능발전 목표의 종합적인 프레임워크 구축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외에도 우리 정책통계담당관에서는 다양한 통계방법 연구 및 국제기구와 관련된 고품질 통계 작성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보완 노력할 것입니다. 통계의 보다 많은 활용과 격려를 바랍니다.
※ 본 통계는 보건복지부홈페이지(mohw.go.kr)와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e-나라지표(index.go.kr)에도 게시됩니다.
※ 수록자료 문의 : 보건복지부 정책통계담당관실
'사회복지업무지원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주요 개정 내용 (0) | 2017.01.26 |
---|---|
2017년도 지역사회 중심 금연지원 서비스 주요 변경사항 (0) | 2017.01.26 |
2017년 지역사회통합 건강증진사업 안내 [구강보건분야] 주요변경내용 (0) | 2017.01.25 |
2017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신체활동분야 안내서 주요변경사항 (0) | 2017.01.24 |
2017년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사업 안내(영양) 주요변경사항 (0) | 2017.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