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한국사회복지데이터센터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고서 본문

사회복지업무지원센터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9. 8. 15. 12:00
반응형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고서


2018년_아동종합실태조사.pdf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3 제2절 조사방법과 자료처리 7 제3절 표본설계 개요 9 제2장 아동대상 실태조사 선행연구 35 제1절 검토배경 37 제2절 아동대상 실태조사 현황분석 43 제3장 아동종합실태조사 조사내용 55 제1절 아동종합실태조사의 연도별 비교 57 제2절 2018년도 조사표 설계의 기본방향 70 제3절 2018년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조사내용 71 제4장 아동가구의 일반특성 85 제1절 아동 및 아동가구 일반특성 87 제2절 주양육자 일반특성 89 제5장 조사 결과 I : 아동의 건강 101 제1절 신체건강 103 제2절 건강행동 110 제3절 정신건강 145 제4절 성건강 및 건강교육 159 제5절 아동부모의 건강 163 제6절 소결 183 제6장 조사 결과 II : 아동의 발달 및 교육 185 제1절 아동 발달 187 제2절 아동 교육 195 제3절 학교 생활 216 제4절 진로 221 제5절 소결 229 제7장 조사 결과 III : 아동의 관계 231 제1절 가족 관계 233 제2절 또래 관계 245 제3절 지역 사회 254 제8장 조사 결과 IV : 아동의 양육 및 돌봄 257 제1절 아동 양육 259 제2절 아동 방과후 돌봄 283 제3절 소결 304 제9장 조사 결과 V : 아동의 여가 및 활동 307 제1절 아동 여가 및 자기보호 309 제2절 아동 활동 341 제3절 아동 권리와 참여 349 제4절 아동 노동 367 제5절 소결 375 제10장 조사 결과 VI : 아동안전 및 위험행동 379 제1절 아동안전 사고 및 안전교육 381 제2절 학교폭력 및 사이버 폭력 396 제3절 아동 위험행동 404 제4절 아동학대 및 방임, 아동폭력 415 제5절 소결 430 제11장 조사 결과 VII : 아동의 지역사회 환경 433 제1절 지역사회 환경과 참여의식 436 제2절 아동정책 인지도와 만족도 466 제3절 아동의 성역할 규범 475 제4절 소결 479 제12장 조사 결과 VIII : 아동의 물질적 환경 483 제1절 아동빈곤율 추이 485 제2절 아동가구의 경제적 상태 489 제3절 물질적 환경 인식 494 제4절 주거환경 513 제5절 소결 520 제13장 조사 결과 IV : 아동의 주관적 웰빙 521 제1절 아동 삶의 만족도 523 제2절 아동의 현재 행복감 536 제3절 소결 543 제14장 논의와 시사점 545 참고문헌 56 부록 표 목차 <표 1-1> 아동실태조사의 법적 근거 5 <표 1-2> 아동빈곤실태조사의 법적 근거 5 <표 1-3>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에서의 대상 가구 정의 8 <표 1-4> 아동종합실태조사 조사표 유형 및 조사대상 9 <표 1-5> 시도별 가구 및 인구, 조사대상자 현황 11 <표 1-6> 시도별 가구 및 인구, 조사대상자 현황 11 <표 1-7> 가구 및 인구, 조사대상자 시도별 비중 12 <표 1-8> 모집단 현황(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 리스트) 13 <표 1-9> 서울시 권역별 해당 구 현황 14 <표 1-10> 경기도 권역별 해당 시군 현황 15 <표 1-11> 서울과 경기도의 세부 지역층의 모집단 현황 15 <표 1-12> 층화 방법 15 <표 1-13> 세부 층별 모집단 조사구 현황 16 <표 1-14> 각 시도별 조사대상자 표본배분 현황 : 인구주택총조사 추출틀 대상 17 <표 1-15> 각 시도 및 세부 층별 최종 표본배분 현황 18 <표 1-16> 각 시도 및 연령대 조사대상자 수 현황 20 <표 1-17> 각 시도 및 가구 특성별 조사대상 가구 현황 22 <표 1-18> 각 시도별 조사대상 가구 규모별 읍면동 현황 23 <표 1-19> 층별 표본 조사구 수 현황 24 <표 1-19> 층별 표본 조사구 수 현황(계속) 25 <표 1-20> 각 시도별 성 및 연령대별 응답자 현황(예상) 25 <표 1-21> 층별 표본 조사구 수 현황 27 <표 2-1> 국내 아동관련 조사 현황 42 <표 2-2> 국내 아동 조사 현황 46 <표 2-3> 국내 아동 조사 주요 연구결과 49 <표 2-4> 국외 아동 조사 현황 53 <표 3-1> 2008년, 2013년 및 2018년 실태조사 비교 57 <표 3-2> 2008년, 2013년 및 2018년 조사표 영역 비교 5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표 3-3>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문항별 2008년, 20013년 포함여부 61 <표 3-4> 2018년 아동용 조사표 문항별 2008년, 20013년 포함여부 67 <표 3-5>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I. 가구일반 영역 내용 71 <표 3-6>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II. 건강 영역 내용 72 <표 3-7>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III. 발달 및 교육 영역 내용 73 <표 3-8>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IV. 관계 영역 내용 74 <표 3-9>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V. 양육 및 돌봄 영역 내용 74 <표 3-10>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VI. 여가 및 활동 영역 내용 75 <표 3-11>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VII. 안전 및 위험행동 영역 내용 76 <표 3-12>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VIII. 지역사회환경 영역 내용 77 <표 3-13>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IX. 물질적 환경 영역 내용 77 <표 3-14> 2018년 보호자용 조사표 I. 아동일반 영역 내용 78 <표 3-15> 2018년 아동용 조사표 II. 건강 영역 내용 79 <표 3-16> 2018년 아동용 조사표 III. 발달 및 교육 영역 내용 80 <표 3-17> 2018년 아동용 조사표 IV.관계 영역 내용 80 <표 3-18> 2018년 아동용 조사표 V. 여가 및 활동 영역 내용 81 <표 3-19> 2018년 아동용 조사표 VI. 안전 및 위험행동 영역 내용 82 <표 3-20> 2018년 아동용 조사표 VII. 지역과 사회환경 영역 내용 83 <표 3-21> 2018년 아동용 조사표 VIII.물질적 환경 영역 내용 83 <표 3-22> 2018년 아동용 조사표 IX. 주관적 웰빙 영역 내용 84 <표 4-1> 응답자 정보 (보호자용) 88 <표 4-2> 주양육자 특성 90 <표 4-3> 주양육자의 가구주와의 관계 91 <표 4-4> 주양육자의 이주여부 92 <표 4-5> 주양육자의 성별 93 <표 4-6> 주양육자의 교육수준 94 <표 4-7> 주양육자의 근로능력 95 <표 4-8> 가구별 상용근로자수 96 <표 4-9> 경제활동참여자 유무에 따른 가구구분 96 <표 4-10> 맞벌이 여부와 경제활동참여자의 수 97 <표 4-11> 주양육자의 경제활동 참여상태 98 <표 4-12> 주양육자의 의사진단 만성질환 이환 여부 99 <표 4-13> 주양육자의 의료보장 유형 100 <표 5-1> 주양육자가 평가한 아동의 건강상태 103 <표 5-2> 아동이 평가한 주관적 건강상태 105 <표 5-3> 조산여부 106 <표 5-4> 출생 시 저체중 여부 107 <표 5-5> 병결 경험률 108 <표 5-6> 주양육자가 평가한 아동의 건강상태 109 <표 5-7> 조산출생률 109 <표 5-8> 저체중 출생률 110 <표 5-9> 임신 중 건강행동 111 <표 5-10> 수유형태 112 <표 5-11> 모유수유기간 113 <표 5-12> 수면습관 114 <표 5-13> 수면시간 116 <표 5-14> 수면부족 여부 117 <표 5-15> 수면부족 이유(1순위) 118 <표 5-16> 아침, 점심, 저녁 식습관 119 <표 5-17> 아침결식률 120 <표 5-18> 아침 결식 이유 121 <표 5-19> 점심이나 저녁 결식 이유 122 <표 5-20> 중등도 운동실천율 123 <표 5-21> 고강도 운동실천율 124 <표 5-22> 근력 운동실천율 126 <표 5-23> 주중 앉아있는 시간 127 <표 5-24> 주말 앉아있는 시간 128 <표 5-25> 비만율, 3~8세 129 <표 5-26> 비만율, 9~17세 130 <표 5-27> 주로 방문하는 의료기관 유무 131 <표 5-28> 주로 방문하는 의료기관 유형 132 <표 5-29> 주로 방문하는 의료기관의 부재 이유 133 <표 5-30> 주로 방문하는 의사유무 134 <표 5-31> 미충족 의료요구 유무 135 <표 5-32> 미충족 의료요구 이유 136 <표 5-33> 미충족 치과의료요구 유무 137 <표 5-34> 미충족 치과의료요구 이유 138 <표 5-35> 건강검진 및 치과검진 수검 여부 139 <표 5-36> 시력교정 여부 140 <표 5-37> 임신 중 건강행동 141 <표 5-38> 수유방법 141 <표 5-39> 모유수유 기간 142 <표 5-40> 수면시간 142 <표 5-41> 수면습관 143 <표 5-42> 아침결식률 143 <표 5-43> 아침결식이유 144 <표 5-44> 건강검진 및 치과검진 수검 144 <표 5-45> 시력교정 여부 145 <표 5-46> 9-17세 아동의 평상시 스트레스 인지도(빈도) 146 <표 5-47> 9-17세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중복응답) 147 <표 5-48> 9-17세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중복응답) 148 <표 5-49> 9-17세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계속) 149 <표 5-50> K-CBCL 척도의 우울 및 불안, 공격성 측정 문항 150 <표 5-51> 9-17세 아동의 정신건강 수준(우울 및 불안, 공격성) 152 <표 5-52> 9-17세 아동의 자살생각 여부 154 <표 5-53> 9-17세 아동의 자살계획 여부 및 자살시도 여부 155 <표 5-54> 9-17세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성 측정 문항별 빈도 156 <표 5-55> 9-17세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 157 <표 5-56> 9-17세 아동의 문제적 게임 이용 여부 158 <표 5-57> 9-17세 아동의 정신건강 분야 시계열표 159 <표 5-58> 12-17세 아동의 성관계 경험 여부 160 <표 5-59> 9-17세 아동의 흡연예방 및 금연 교육 경험 여부 161 <표 5-60> 9-17세 아동의 음주 및 음주폐해 예방교육 경험 여부 162 <표 5-61> 9-17세 아동의 성교육 경험 여부 163 <표 5-62> 주양육자의 주관적 건강수준 164 <표 5-63> 주양육자의 음주 빈도 166 <표 5-64> 주양육자의 음주량 167 <표 5-65> 남자 주양육자의 월간 폭음빈도 168 <표 5-66> 여자 주양육자의 폭음빈도 169 <표 5-67> 주양육자의 성별 월간 폭음율 171 <표 5-68> 주양육자 본인의 평생 흡연 경험 여부 173 <표 5-69> 남자 주양육자 본인의 현재 흡연 상태 174 <표 5-70> 여자 주양육자 배우자의 평생 흡연 경험 여부 175 <표 5-71> 여자 주양육자 배우자의 현재 흡연 상태 176 <표 5-72> 주양육자의 가정 내 간접흡연 경험 177 <표 5-73> 주양육자의 흡연 경험 및 현재 흡연상태에 따른 가정 실내 간접흡연 노출율 178 <표 5-74> 주양육자의 우울수준 179 <표 5-75> 주양육자의 우울여부 180 <표 5-76> 주양육자의 건강 특성에 따른 9-17세 아동의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생각율,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 및 게임 문제적 이용군 비율 181 <표 5-77> 주양육자의 건강 특성에 따른 9-17세 아동의 우울불안 수준과 공격성 수준(평균, 표준편차) 182 <표 5-78> 아동종합실태조사 시계열표-주양육자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우울수준 182 <표 6-1> 자기표현의 문항구성 및 기초분석 187 <표 6-2> 자기표현 (평균) 188 <표 6-3> 자아존중감의 문항구성 및 기초분석 189 <표 6-4> 자아존중감 (평균) 190 <표 6-5> 인지발달 수준(0-5세) 191 <표 6-6> 언어발달 수준(0-5세) 192 <표 6-7> 아동의 기질: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 (0-5세, 3-8세) 194 <표 6-8> 학생여부 195 <표 6-9> 학업중단 의사(정규교육 지속 계획) 196 <표 6-10> 학업성적 1 198 <표 6-11> 학업성적 2 199 <표 6-12> 사교육 경험 199 <표 6-13> 보육 및 사교육 이용여부: 보육시설 (0-5세) 201 <표 6-13> 보육 및 사교육 이용여부: 보육시설 (0-5세) (계속) 202 <표 6-14> 보육 및 사교육 이용여부: 민간학원 및 사교육 (0-5세) 203 <표 6-15> 보육 및 사교육 이용여부: 기타 (0-5세) 204 <표 6-16> 보육 및 사교육 비용(0-5세, 항목별 비용) 205 <표 6-17> 보육 및 사교육 비용(0-5세, 전체비용) 206 <표 6-18> 복지서비스 이용여부(0-5세) 208 <표 6-19> 복지서비스 필요여부(0-5세) 209 <표 6-20> 아동의 사교육 이용여부: 민간학원 및 사교육 (6-17세) 211 <표 6-21> 아동의 사교육 이용여부: 학교 및 사회복지 관련기관 (6-17세) 212 <표 6-22> 아동의 사교육 이용여부: 기타 213 <표 6-23> 사교육 비용(6-17세, 항목별 비용) 214 <표 6-24> 사교육 비용(6-17세, 전체비용) 215 <표 6-25> 부모의 교육참여 216 <표 6-26> 학교생활만족도 217 <표 6-27> 공부부담 (평균) 218 <표 6-28> 친구관계 219 <표 6-29> 선생님과의 관계 219 <표 6-30> 친구관계 및 선생님과의 관계 220 <표 6-31> 진로계획 222 <표 6-32> 희망교육수준 (아동응답 및 주양육자 응답) 224 <표 6-33> 부모가 예측하는 가능교육수준 (실제 자녀의 교육수준 예상) 225 <표 6-34> 희망교육수준과 예측가능교육수준의 차이 226 <표 6-35> 원하는 직업 (1순위) 227 <표 6-36> 진로성숙도 개별문항 228 <표 6-37> 진로성숙도 229 <표 7-1> 가족관계(주보호자와의 관계) 문항 내용 및 항목별 빈도 234 <표 7-2> 가족관계(주보호자와의 관계) 합산점수 234 <표 7-3> 배우자 동거여부 235 <표 7-4> 결혼생활 만족도 236 <표 7-5> 배우자와 싸움빈도 237 <표 7-6> 가족의 사회자본(용돈, 생활비 등의 경제적 도움) 238 <표 7-7> 가족의 사회자본(의논, 푸념 상대 등 정서적 도움) 239 <표 7-8> 가족의 사회자본(가사, 육아, 간병 등 생활의 도움) 240 <표 7-9> 가족의 사회자본(자녀양육, 교육 등에 관한 정보 제공) 241 <표 7-10> 부모효능감 문항 243 <표 7-11> 부모효능감(평균점수) 243 <표 7-12> 가족건강성(평균점수) 245 <표 7-13> 또래관계: 함께 어울려 노는 친구 수 (3-8세) 246 <표 7-14> 친구 수 (9-11세, 12-17세 아동응답) 248 <표 7-15> 또래관계: 친구와 노는 횟수 (3-8세) 249 <표 7-16> 또래관계: 친구와 잘 어울리는 정도 (3-8세) 250 <표 7-17> 이성 교제 경험 여부 (9-11세, 12-17세 아동응답) 252 <표 7-18> 긍정적부정적 또래관계 (아동의 친구애착 및 친구일탈 정도) 문항 내용 및 항목별 빈도 253 <표 7-20> 공동체 의식 평균점수 255 <표 8-1> 주양육자 260 <표 8-2> 양육분담(주양육자) 262 <표 8-3> 양육분담(배우자) 263 <표 8-4> 부부간 양육의견 불일치 264 <표 8-5> 양육문제 주결정자 266 <표 8-6> 양육스트레스 척도 267 <표 8-7> 양육스트레스 268 <표 8-8> 체벌인식 270 <표 8-9> 훈육방식: 신체적 체벌 272 <표 8-10> 훈육방식: 벌 세우기 274 <표 8-11> 훈육방식: 말로 야단치기 276 <표 8-12> 훈육방식: 장난감이나 게임기, 스마트폰 사용 제한하기 278 <표 8-13> 훈육방식: 칭찬과 보상 사용하기 280 <표 8-14> 주양육자 281 <표 8-15> 부부간 양육의견 불일치 281 <표 8-16> 양육문제 주결정자 282 <표 8-17> 체벌인식 282 <표 8-18> 주양육자 283 <표 8-19> 보육시설 방과후 돌봄장소 284 <표 8-20> 보육시설 방과후 보호자 286 <표 8-21> 평일 방과후 집에서 맞이해 주는 사람 288 <표 8-22> 평일 방과후 함께 지내는 사람 290 <표 8-23> 평일 방과후 같이 저녁식사 하는 사람 292 <표 8-24> 평일 방과후 저녁식사 후 함께 있는 사람 294 <표 8-25> 토요일에 주로 함께 있는 사람 296 <표 8-26> 일요일에 주로 함께 있는 사람 298 <표 8-27> 방학 중 낮 동안 함께 있는 사람 300 <표 8-28> 보육시설 방과후 돌봄장소 301 <표 8-29> 보육시설 방과후 보호자 302 <표 8-30> 평일 방과후 보호자 302 <표 8-31> 주말/방학 보호자 303 <표 9-1> 주중 TV 시청 311 <표 9-2> 주말 TV 시청 312 <표 9-3> 주중 책읽기 314 <표 9-4> 주말 책읽기 315 <표 9-5> 주중 스마트폰/컴퓨터/태블릿PC 사용 317 <표 9-6> 주말 스마트폰/컴퓨터/태블릿PC 사용 318 <표 9-7> 매체 이용/시청 시간 제한 320 <표 9-8> 시간압력(보호자) 322 <표 9-9> 시간압력 이유(부모) 323 <표 9-10> 평일 주요 활동 시간 324 <표 9-11> 주말 주요 활동 시간 325 <표 9-12> 시간압력(아동) 327 <표 9-13> 시간압력 이유(아동) 328 <표 9-14> 평일 방과후 함께 지내는 사람 329 <표 9-15> 방과후 활동(아동) 331 <표 9-16> 방과후 희망 활동(아동) 333 <표 9-17> 주말/방학 중에 주로 함께 지내는 사람 334 <표 9-18> 자기보호일수 335 <표 9-19> 자기보호시간 335 <표 9-20> 매체 이용 337 <표 9-21> 자기보호 일수 및 시간 338 <표 9-22> 방과후 희망활동 339 <표 9-23> 시간압력 340 <표 9-24> 시간압력 이유 340 <표 9-25> 자기보호 일수 341 <표 9-26> 방과후 활동(부모) 342 <표 9-27> 방과후 희망 활동(부모) 344 <표 9-28> 사회활동 참여 346 <표 9-29> 사회활동 참여 1 346 <표 9-30> 사회활동 참여 2 347 <표 9-31> 동아리활동 참여 비율 (‘있다’고 응답한 아동의 비율) 348 <표 9-32> 유엔아동권리협약(UNCRC) 인식 (아동응답/주양육자 응답) 350 <표 9-33>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권리 인식 351 <표 9-34>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권리 인식: 생존권 352 <표 9-35>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권리 인식: 보호권 353 <표 9-36>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권리 인식: 발달권 354 <표 9-37>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권리 인식: 참여권 355 <표 9-38>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356 <표 9-39> 우리나라의 아동권리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 (아동응답/주양육자) 358 <표 9-40> 우리나라의 아동권리 보장정도에 대한 인식 (아동응답/주양육자 응답, 평균점수) 359 <표 9-41> 참여인식: 필요도 360 <표 9-42> 참여인식: 참여정도 360 <표 9-43> 참여인식 (필요도 및 참여정도): ① 청소년 관련 문제에 대해 의견이나 소감 또는 견해를 밝히는 것 (교칙제정 등) 362 <표 9-44> 참여인식 (필요도 및 참여정도):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정책이나 수립 과정에 참여 또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 363 <표 9-45> 참여인식 (필요도 및 참여정도): ③ 청소년의 능력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회적 활동을 하는 것 (봉사활동 등) 364 <표 9-46> 참여인식 (필요도 및 참여정도): ④ 스스로의 힘으로 경제적인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하는 것(아르바이트 등) 365 <표 9-47> 참여인식 (필요도 및 참여정도): ⑤ 청소년들끼리 여가문화행사를 직접 기획하거나 실행하는 것 366 <표 9-48>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 367 <표 9-49> 아르바이트 종류 (지난 1년 간 경험한 아르바이트 종류: 다중응답) 369 <표 9-50> 아르바이트 종류 (가장 최근 경험한 아르바이트 종류) 370 <표 9-51> 아르바이트 기간 (가장 최근 경험한 아르바이트 기간) 371 <표 9-52> 최근 아르바이트의 기간, 주당 노동시간, 하루 노동시간, 임금 (가장 최근 경험한 아르바이트) 372 <표 9-53> 아르바이트 시 부당처우 경험 373 <표 9-54> 임금체불, 최저임금 미만, 산업재해 경험 여부 374 <표 9-55> 아르바이트 경험을 통해 얻게된 것 375 <표 10-1> 안전수칙 준수 383 <표 10-2> 안전사고 예방 습관(아동) 384 <표 10-3> 손상(입원) 일수 385 <표 10-4> 손상에 의한 응급실 이용 경험 387 <표 10-5> 응급실 이용 원인 388 <표 10-6> 손상에 의한 응급실 이용 경험(아동) 389 <표 10-7> 응급실 이용 원인(아동) 390 <표 10-8> 안전위협 요인 1순위 392 <표 10-9> 안전교육 경험(아동) 393 <표 10-10> 안전수칙 준수 394 <표 10-11> 손상으로 입원 및 응급실 이용 경험 395 <표 10-12> 응급실 이용 원인 395 <표 10-13> 손상경험률 395 <표 10-14> 학교폭력 척도 396 <표 10-15> 학교폭력 피해 397 <표 10-16> 학교폭력 피해 경험 398 <표 10-17> 학교폭력 가해 399 <표 10-18> 학교폭력 가해 경험 400 <표 10-19> 사이버폭력 척도 401 <표 10-20> 사이버폭력 피해 401 <표 10-21>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 402 <표 10-22> 사이버폭력 가해 403 <표 10-23>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 403 <표 10-24> 9-17세 아동의 지난 1년 동안의 무단결석 경험 404 <표 10-25> 9-17세 아동의 지난 1년 동안의 가출 경험 405 <표 10-26> 9-17세 아동의 흡연 경험(평생) 406 <표 10-27> 아동의 최초 흡연 경험 시기(학령별) 407 <표 10-28> 아동의 최초 흡연 경험 시기(학령별 계속) 407 <표 10-29> 9-17세 아동의 월 1일 이상 흡연 여부 (최근 30일) 408 <표 10-30> 아동의 최근 30일 동안의 흡연 일수 408 <표 10-31> 흡연 경험 아동의 최근 30일 동안 흡연시 담배 구입 경로 409 <표 10-32> 9-17세 아동의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 경험 410 <표 10-33> 9-17세 아동의 음주 경험(평생) 411 <표 10-34> 9-17세 아동의 최초 음주경험 시기 411 <표 10-35> 9-17세 아동의 최초 음주경험 시기(학령별 계속) 412 <표 10-36> 9-17세 아동의 월 1일 이상 음주 여부 (최근 30일) 412 <표 10-37> 9-17세 아동의 월 1일 이상 음주 여부 (최근 30일) 413 <표 10-38> 12-17세 아동의 음주 관련 경험 (최근 30일) 414 <표 10-39> 최근 30일 동안 음주 경험이 있는 9-17세 아동의 술 구입 경로 415 <표 10-40> 아동방치(만 0-5세) 416 <표 10-41> 아동방치(만 6-12세) 417 <표 10-42> 아동방임 척도 418 <표 10-43> 아동방임 419 <표 10-44> 신체학대 420 <표 10-45> 정서학대 420 <표 10-46> 아동 방임 및 학대 422 <표 10-47> 성학대 423 <표 10-48> 아동의 폭력 424 <표 10-49> 아이 잃어버린 경험 425 <표 10-50> 잃어버린 당시 연령 425 <표 10-51> 잃어버린 아이를 찾은 경로 426 <표 10-52> 안전만족도 427 <표 10-53> 아동방치 일수(만 0-5세) 428 <표 10-54> 아동방치 일수(만 6-12세) 428 <표 10-55> 아동방임 429 <표 10-56> 아동학대 429 <표 10-57> 실종 430 <표 11-1> 아동의 거주지역 생활환경에 대한 주양육자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 437 <표 11-2> 가구특성별 아동의 거주지역 생활환경에 대한 주양육자 인식수준 총점의 평균 비교 438 <표 11-3> 가구특성별 아동의 거주지역 생활환경에 대한 주양육자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 439 <표 11-4> 주양육자의 지역사회 대상별 신뢰 수준 445 <표 11-5> 가구특성별 주양육자의 지역사회 신뢰도 총점의 평균 비교 446 <표 11-6> 가구특성별 가족-동네‧이웃-외국인에 대한 신뢰도 비교 447 <표 11-7> 가구특성별 정부기관-교육기관-종교단체/종교인-언론에 대한 신뢰도 비교 448 <표 11-8> 주양육자의 지역사회 참여 형태별 참여도 451 <표 11-9> 가구특성별 주양육자의 지역사회 참여도 총점 비교 452 <표 11-10> 지역사회 참여 유형별 가구특성에 따른 주양육자의 지역사회 참여도 비교 452 <표 11-11> 가구특성별 주양육자의 시민의식: 범법‧위반 행위의 자발적 신고여부 455 <표 11-12> 가구특성별 주양육자의 지역사회 갈등해결 노력: 갈등해결을 위한 주도적 활동 의향 456 <표 11-13> 가구특성별 주양육자의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사회적 약자와의 관계 457 <표 11-14> 가구특성별 주양육자의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 평균 458 <표 11-15> 지역사회 만족도 점수 집단별 범법‧위반 행위의 자발적 신고여부 459 <표 11-16> 지역사회 만족도 점수 집단별 갈등해결을 위한 주도적 활동 의향 459 <표 11-17> 지역사회 만족도 점수 집단별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460 <표 11-18> 아동의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수준 461 <표 11-19> 가구특성별 아동의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수준의 평균 비교 463 <표 11-20> 아동의 지역사회 참여의식 수준 464 <표 11-21> 가구특성별 아동의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수준의 평균 비교 465 <표 11-22> 가구특성별 아동의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 평균 467 <표 11-23> 주양육자의 아동정책 인지도, 이용여부 및 만족여부 469 <표 11-24> 가구특성별 아동정책의 이용여부 및 만족여부 471 <표 11-25> 향후 개선이나 보완이 필요한 아동정책 영역 475 <표 11-26> 아동의 전통적 성역할 규범에 대한 태도 477 <표 11-27> 가구특성별 아동의 가족내 전통적 성역할 규범에 대한 태도 비교 478 <표 11-28> 아동의 거주지역 생활환경에 대한 주양육자 인식수준의 비교(2008 vs 2013 vs 2018) 479 <표 11-29>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아동정책(1+2순위, 중복응답)의 비교(2013 vs 2018) 480 <표 12-1> 아동가구 경제상황 490 <표 12-2> 가구원 근로소득(합계) 490 <표 12-3> 가구처분가능소득 491 <표 12-4> 월평균 총생활비 492 <표 12-5> 아동용돈 지급여부 493 <표 12-6> 박탈 항목(아동종합실태조사) 495 <표 12-7> 박탈지수 496 <표 12-8> 식생활 영역의 박탈 비율 497 <표 12-9> 의생활 영역의 박탈 비율 498 <표 12-10> 주택 및 주거환경 영역의 박탈 비율 499 <표 12-11> 의료 및 건강 영역의 박탈 비율 499 <표 12-12> 문화생활 및 사회적 지지 영역의 박탈 비율 501 <표 12-13> 미래대비 영역의 박탈 비율 501 <표 12-14> 교육 영역의 박탈 비율 503 <표 12-15>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한 가구의 비율 504 <표 12-16> 주관적 계층 인식 (부모) (보호자응답) 504 <표 12-17> 아동의 결핍 조사 항목(아동종합실태조사) 505 <표 12-18> 연령별 아동의 결핍지수 비교 506 <표 12-19> 아동의 결핍지수 507 <표 12-20> 0-8세 아동의 결핍 실태(부모 응답) 508 <표 12-21> 아동의 결핍지수 격차 510 <표 12-22> 9-17세 아동의 결핍실태(아동응답) 511 <표 12-23> 가정형편에 대한 아동의 주관적 인식(0-10점 척도) 512 <표 12-24> 아동의 빈곤에 대한 걱정도 513 <표 12-25> 거주 주택의 점유 형태 514 <표 12-26> 거주 주택의 가격 및 월세액 517 <표 12-27> 거주 주택의 유형 (단위: %) 518 <표 12-28> 사용하는 방 수 519 <표 13-1> 삶의 만족도 (캔트릴의 사다리 척도) 524 <표 13-2>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건강 만족도 530 <표 13-3>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이루어 온 것에 대한 만족도 (성취만족도) 531 <표 13-4>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개인적 관계 만족도 532 <표 13-5>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안전 만족도 533 <표 13-6>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동네 만족도 534 <표 13-7>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생활수준 만족도 535 <표 13-8>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미래 안정성 만족도 536 <표 13-9> 어제 행복했던 정도 539 <표 13-10> 어제 걱정했던 정도 540 <표 13-11> 어제 우울했던 정도 541 <표 13-12> 요즘 삶에 만족하는 정도 542 <표 13-13> 자신의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아동용은 학교생활, 공부 등) 543 <표 14-1> 아동의 방과후 희망활동 556 <표 14-2> 부모와 아동의 정신건강 및 건강행태의 상관관계 558 그림 목차 [그림 1-1]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1970~2018년. 3 [그림 1-2] 전체빈곤율과 아동빈곤율 추이 6 [그림 1-3] 가구주 가구형태에 따른 빈곤율과 기초생활보장수급율 6 [그림 2-1] 아동의 삶의 만족도 38 [그림 2-2] 아동의 삶의 만족도 추이 39 [그림 6-1] 복지서비스 이용여부 및 서비스 필요여부에 관한 응답(0-5세아동 주양육자) 207 [그림 6-2] 표본에 따른 희망교육수준과 예측교육수준 비교 (아동과 부모) 230 [그림 7-1] 주보호자와의 관계 233 [그림 7-2] 가족의 사회자본 시계열비교 242 [그림 11-1] 아동정책 유형별 아동가구의 인지도, 이용여부 및 만족여부 비교 470 [그림 12-1] 전체빈곤율과 아동빈곤율 추이(균등화된 가처분소득 기준) 486 [그림 12-2] OECD 국가의 아동빈곤율과 노인빈곤율(2016년 기준 최근연도) 486 [그림 12-3] 가구 내 경제활동을 하는 성인의 수와 맞벌이가구 비율 487 [그림 12-4] 공적이전의 빈곤율 감소 효과 488 [그림 12-5] 아동빈곤율과 합계출산율 간의 관계 489 [그림 13-1] OECD 국가 아동들의 행복도 비교 526 [그림 13-2] UNCEF(2013) 기준 행복도(삶의 만족도) 국제비교 (단위 %) 527 [그림 14-1] OECD 국가 아동들의 행복도 비교 548 [그림 14-2] UNCEF(2013) 기준 행복도(삶의 만족도) 국제비교 (단위 %) 549 [그림 14-3] 삶의 중요한 영역들에 대한 만족도 550 [그림 14-4]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삶의 만족도 551 [그림 14-5] OECD 국가의 빈곤율 비교 552 [그림 14-6] 가구형태별 빈곤율과 기초보장 수급율 552 [그림 14-7] 아동결핍수준 국제비교 554 [그림 14-8] 아동의 소득기준빈곤과 다차원적 결핍의 비교 554 [그림 14-9] 아동압력과 시간압력의 이유 555 [그림 14-10] 아동특성별 우울 및 공격성의 차이 557 [그림 14-11] 아동의 빈곤과 결핍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558 [그림 14-12] 아동청소년지표의 Framework 5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