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한국사회복지데이터센터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결과 보고서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본문

사회복지업무지원센터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결과 보고서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9. 1. 25. 17:03
반응형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결과 보고서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년도_의료서비스경험조사.pdf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결과 보고서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 목적 9 제2장 의료서비스경험 조사의 개요와 현황 11 제1절 개요 13 제2절 국제 동향 30 제3절 OECD의 환자보고지표조사(Patient Reported Indicator Survey, PaRIS) 79 제4절 국내 현황 87 제3장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의 기획 89 제1절 설문지 개발 91 제2절 표본 설계 152 제3절 가중치 설계 158 제4장 2018년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결과 161 제1절 조사 결과 164 제2절 심층 분석 결과 191 제5장 발전 방향 203 참고문헌 211 부록 1 215 부록 2 319 표 목차 <표 2-1> 의사중심 모형과 환자중심 모형의 비교 19 <표 2-2> Jenkinson 등(2002)의 환자 경험 조사 척도 29 <표 2-3> PROMs의 일반 설문과 건강상태-특이적 설문의 특징 33 <표 2-4> OECD국가의 환자 경험 수집 항목별 제출 현황 42 <표 2-5> OECD국가의 환자 경험 지표 조사현황 44 <표 2-6> 예방 영역 검토 가능 문항: 의료공급자 관점 48 <표 2-7> 예방 영역 검토 가능 문항: 환자 권한 및 참여의 관점 49 <표 2-8> 사건 영역 검토 가능 문항 50 <표 2-9> 사건 관리 영역 검토 가능 문항 51 <표 2-10> 영국 성인 입원환자조사의 조사 영역과 주요 문항 56 <표 2-11> 영국 산모서비스 조사의 조사 영역과 주요 문항 57 <표 2-12> 영국 지역사회 정신건강조사의 조사 영역과 주요 문항 58 <표 2-13> 영국 아동 및 청소년 입원환자조사의 조사 영역과 주요 문항 59 <표 2-14> 영국 응급 서비스 조사 영역과 주요 문항 60 <표 2-15> 미국 병원 입원 서비스 조사의 조사 영역과 측정 방식 64 <표 2-16> 미국 건강보험 서비스 조사의 조사 영역과 측정 문항 65 <표 2-17> 미국 외래 서비스 조사의 조사 영역과 측정 문항 67 <표 2-18> 미국 외과 환자 조사의 조사 영역과 측정 문항 68 <표 2-19> 미국 암 환자 조사 영역과 측정 문항 70 <표 2-20> PaRIS 참여 국가 위원회(BPC) 추진 일정 80 <표 2-21> 만성질환을 가진 성인: 주요 영역 및 지표 예시 85 <표 2-22> 일차 의료/외래진료 환경: 주요 영역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표 3-7> 2차 자문회의 주요 논의 내용과 반영 사항 129 <표 3-8> 3차 자문회의 검토 대상 설문지의 구성과 조사 내용 130 <표 3-9> 3차 자문회의 주요 논의 내용과 반영 사항 133 <표 3-10> 조사원 집단심층 면접(FGI)용 설문지의 구성과 조사 내용 134 <표 3-11> 조사원 집단심층 면접(FGI)에서 확인된 문제점과 조치 사항 136 <표 3-12> 일반인 집단심층 면접(FGI) 대상자 137 <표 3-13> 일반인 집단심층 면접(FGI)용 설문지의 구성과 조사 내용 138 <표 3-14> 일반인 집단심층 면접(FGI)에서 확인된 문제점과 조치 사항 143 <표 3-15> 사전 조사용 설문지의 구성과 조사 내용 145 <표 3-16> 사전 조사 가구 접촉률 146 <표 3-17> 사전 조사 응답자의 특성 146 <표 3-18> 사전 조사 및 부처 검토 결과 반영 사항 148 <표 3-19> 최종 설문지의 구성과 조사 내용 150 <표 3-20> 모집단의 분포 152 <표 3-21> 표본의 분포 153 <표 3-22> 조사구 배분 156 <표 4-1> 조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65 <표 4-2> 의료서비스 이용률 167 <표 4-3> 의사 서비스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외래서비스) 168 <표 4-4> 의사의 실제 진료 시간 (외래서비스) 169 <표 4-5> 간호사 서비스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외래서비스) 170 <표 4-6> 의료기관 이용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외래서비스) 171 <표 4-7> 안전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외래서비스) 172 <표 4-8> 대기기간 (외래서비스) 173 <표 4-9> 외래서비스 예약진료를 원하는 날짜에 이용하지 못한 응답자의 대기기간 174 <표 4-10> 의료기간 접수 후 대기시간 175 <표 4-11> 치료결과 및 서비스에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응답 비율 (외래서비스) 176 <표 4-12> 입원일수 176 <표 4-13> 의사 서비스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입원서비스) 178 <표 4-14> 간호사 서비스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입원서비스) 179 <표 4-15> 의료기관 이용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입원서비스) 180 <표 4-16> 안전 경험 문항별 응답 비율 (입원서비스) 181 <표 4-17> 대기기간 (입원서비스) 182 <표 4-18> 입원서비스 예약진료를 원하는 날짜에 이용하지 못한 응답자의 대기기간 183 <표 4-19> 치료결과 달성에 대한 문항별 응답 비율 (입원서비스) 184 <표 4-20> 입원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문항별 응답 비율 (입원서비스) 184 <표 4-21> 간호간병 서비스 이용 현황 185 <표 4-22> 보건의료제도 인식 186 <표 4-23> 주관적 건강 수준에 따른 외래서비스의 긍정적 경험 비율 191 <표 4-24> 거주 지역에 따른 외래서비스의 긍정적 경험 비율 192 <표 4-25> 방문 의료기관의 유형에 따른 외래서비스의 긍정적 경험 비율 193 <표 4-26> 거주 지역과 방문 의료기관의 유형에 따른 외래서비스의 긍정적 경험 비율 194 <표 4-27> 입․퇴원 병실 이동 현황 195 <표 4-28> 병실 이동에 따른 입원서비스의 긍정적 경험 비율 196 <표 4-29> 치료 결과에 대한 기대 수준 달성 여부에 따른 입원서비스의 긍정적 경험 비율 197 <표 4-30> 간호 간병 서비스 병도 이용 여부에 따른 입원서비스의 긍정적 경험 비율 197 <표 4-31> 거주 지역과 만성질환 수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포기 경험 198 <표 4-32> 건강검진을 받은 임금근로자의 추가 검진비용 199 <표 4-33> 고혈압 유병자의 치료결과 및 외래서비스의 긍정적 만족도 200 <표 4-34> 연령에 따른 보건의료제도 인식 201 <표 4-35> 의료서비스 이용 여부에 따른 보건의료제도 인지도 202 <표 4-36> 보건의료제도 인식에 따른 보건의료제도 변화 필요성 202 그림 목차 〔그림 2-1〕 「환자보고 결과측정(PROMs)」도구 이용을 위한 체계 32 〔그림 2-2〕 NHS 입원 조사 평가결과 공개 예시 55 〔그림 2-3〕 네덜란드 웹사이트의 조사 결과 공유 76 〔그림 2-4〕 프랑스 HAS의 환자 경험 조사 평가결과 공개 78 〔그림 4-1〕 의사의 실제 진료 시간 (외래서비스) 169 〔그림 4-2〕 외래서비스 예약진료를 원하는 날짜에 이용하지 못한 응답자의 대기기간 174 〔그림 4-3〕 의료기간 접수 후 대기시간 175 〔그림 4-4〕 입원일수 177 〔그림 4-5〕 입원서비스 예약진료를 원하는 날짜에 이용하지 못한 응답자의 대기기간 183 〔그림 4-6〕 보건의료제도에서 변화가 필요한 부분 (의견) 187 〔그림 4-7〕 주관적 건강 수준 188 〔그림 4-8〕 만성질환 경험 여부 189 〔그림 4-9〕 의료비용 부담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포기 경험 190 2018년도_의료서비스경험조사.pdf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