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한국사회복지데이터센터

사회복지사 통계연감(현황) 자료 본문

사회복지업무지원센터

사회복지사 통계연감(현황) 자료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8. 4. 16. 08:31
반응형

사회복지사 통계연감(현황) 자료


2016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pdf


2016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2016. 12 연구기관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인적자원연구원 지원기관 : 보건복지부 책임연구원 : 최일섭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연구원장) 공동연구원 : 황의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리) 손영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주임연구원) 연구보조원 : 김예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연구보조원) 박영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연구보조원) 박지영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연구보조원) 제 출 문 보건복지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사회복지사 정책조사연구사업 「2016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과제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6년 12월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본 통계연감이 발간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인적자원 특성 패널조사>에 협조 및 응답해 주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및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관계자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사 정책 조사연구사업 과제의 결과로서,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진의 의견이며 보건복지부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닙니다. 발간사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업법」이 명시한 유일한 사회복지 전문가입니다. 급속한 사회변화로 인한 다양한 사회문제와 보다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 하는 현대 사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 또는 사회서비스 제공에 대한 국민들의 욕구는 상당히 팽창했고,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전문 인력에 의해 전달되는 휴먼서비스로 그 중심에 ‘사회복지사’가 있음은 모두가 공감할 것입니다. 다양한 연구에서 사회복지서비스 질과 사회복지사 근무 환경은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를 근거로 사회복지사의 근무 환경 개선은 서비스의 질 향상과 직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최근, 업무과중으로 인한 자살, 클라이언트 폭력, 저임금 등 사회복지사 관련 많은 사회적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될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사회복지사의 처우 개선과 권익 향상을 위해 다양한 사업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처우 개선과 관련된 정책 개발의 일환으로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사회복지사의 임금 수준 및 근로 조건 등 사회복지사 인적자원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복지사 처우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수립과 시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성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본 연구를 위해 매년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를 해주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그리고 예산지원을 해주신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과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아울러 어려운 여건에서도 연구 수행을 위해 노력해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인적자원연구원 최일섭 원장 이하 직원에게 감사와 격려를 표합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사회복지사 및 관계자들에게 유용하고 알찬 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의 처우 개선을 위해 정진해 나갈 것이며, 그 근간이 되는 조사연구사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더욱 높아지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2월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 류 시 문 목 차 서 론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1.1 연구필요성 3 1.2 연구목적 6 2. 통계연감 연혁 7 사회복지 인적자원 특성 패널조사 9 1.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11 2. 조사 내용 및 주요지표의 정리 14 2.1 시설용 설문 14 2.2 개인용 설문 15 2.3 측정도구 16 3. 조사 방법 및 자료분석 18 4. 통계 결과 19 4.1 시설용 결과 19 4.2 개인용 결과 55 Ⅰ Ⅱ 2016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사회복지사 제도 관련 통계 141 1. 사회복지사 자격증 143 2. 사회복지현장실습 148 3.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153 ※ 참고문헌 159 ※ 부 록 161 1. 주요변수 3개년 비교 163 2. 설문지 204 Ⅲ 표목차 <표 1> 자격증 발급 현황 4 <표 2> 사회복지시설 및 종사자 현황 4 <표 3>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 전망 5 <표 4> 직업분류별 임금(연봉) 수준 5 <표 5> 사회복지생활시설 표본 설계11 <표 6> 사회복지이용시설 표본 설계12 <표 7> 설문지 회수 현황13 <표 8> 시설용 설문지의 내용 14 <표 9> 개인용 설문지의 내용 15 <표 10> 조사표의 척도 17 <표 11> 조사방법 및 자료분석 18 <표 12> 시설 소재지 20 <표 13> 시설 유형 21 <표 14> 주요 서비스 대상 22 <표 15> 모법인 형태 23 <표 16> 운영주체 24 <표 17> 민간 위탁 운영 연도 24 <표 18> 예산 재원 비중 25 <표 19> 인건비 재원 비중 26 <표 20> 이용시설 연간 예산(세입 및 세출) 규모 27 <표 21> 생활시설 연간 예산(세입 및 세출) 규모 27 <표 22> 정원 및 현원 28 <표 23> 직종별 현황 29 <표 24> 직급별 현황 30 <표 25>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 형태31 <표 26> 이직 및 채용규모 32 <표 27> 충원 필요 직종 32 <표 28> 인력 채용 시 기준의 비중 33 <표 29> 정기적인 신규 인력 채용 계획 유무 34 <표 30> 채용 방법 35 2016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표 31> 인적자원개발의 중요도 및 어려움 36 <표 32> 일터혁신을 위한 시설의 노력 38 <표 33> 노사 협의기구 구성 39 <표 34> 보수체계에 대한 설명 여부 40 <표 35> 보수기준표 유무 41 <표 36> 보수기준표 마련 근거 41 <표 37> 직급별 월 기본급 평균수준 43 <표 38> 수당 제공 현황 및 재원 44 <표 39> 연장근로수당 지급형태 46 <표 40> 휴일근로수당 지급형태 47 <표 41> 퇴직금 지급 형태 48 <표 42> 인건비 운영 문제점 49 <표 43> 시설 관리운영에 있어서의 가장 큰 어려움 50 <표 44> 시설에서 제공하는 휴가 또는 휴직제도(중복응답) 51 <표 45> 직원의 잔여휴가 발생 시 처리형태 53 <표 46> 시설의 종사자 권익 보호 및 처우 개선 노력(중복응답) 54 <표 47> 응답자의 직무 55 <표 48> 응답자의 성별 56 <표 49> 응답자의 연령 57 <표 50> 응답자의 최종학력 58 <표 51> 사회복지사 자격증 보유 현황 59 <표 52> 사회복지사 자격증 등급 현황 60 <표 53>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 연도 60 <표 54>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 경로 61 <표 55> 응답자의 직장 내 직위 63 <표 56> 월평균 가구 총 소득 65 <표 57> 월평균 가구 총 지출 67 <표 58> 평균 가구원 수 68 <표 59> 사회경제적 지위 69 <표 60> 사회복지분야의 총 경력 및 재직기간(평균) 70 <표 61> 업무 상 주된 대상자(중복 응답) 71 <표 62> 담당 업무의 비중 (중복응답) 73 <표 63> 현재 업무량74 <표 64> 연봉 총액 75 <표 65> 직급별 연봉 총액(세전, 평균) 76 <표 66> 기본급 78 <표 67> 직급별 기본급 79 <표 68> 지급받는 수당의 종류(중복 응답) 81 <표 69> 주관적 적정 희망 연봉 83 <표 70> 고용형태 84 <표 71> 교대근무제 시행 여부 85 <표 72>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 86 <표 73> 민간영역 현 직장 입사경로 87 <표 74> 공공전달체계 공무원 지원‧임용 동기 88 <표 75> 근로계약서의 작성 여부 89 <표 76> 휴가의 제공 여부 등 90 <표 77> 유급휴가 중 잔여휴가 보상 형태 92 <표 78> 현 직장에 대한 만족도 94 <표 79> 현 직무에 대한 만족도 95 <표 80> 클라이언트 폭력 96 <표 81> 주관적 건강 상태 101 <표 82> 직무스트레스 103 <표 83> 자아탄력성 104 <표 84> 주관적 행복감 106 <표 85> 업무소진 108 <표 86> 이직 경험 109 <표 87> 이직 경험 횟수(현 직장 포함) 110 <표 88> 직전 직장에서 현 직장으로의 전입형태 111 <표 89> 이직경험(전입) 사유(1순위) 113 <표 90> 이직경험(전입) 사유(2순위) 114 <표 91> 이직경험(전입) 사유(3순위) 115 <표 92> 이직 의도 116 <표 93> 이직 희망 분야 117 <표 94> 이직 희망 사유(1순위) 119 <표 95> 이직 희망 사유(2순위) 120 <표 96> 이직 희망 사유(3순위) 121 <표 97> 직원 교육 관련 규정(지침) 마련 여부 122 <표 98> 교육훈련 횟수와 시간 (연 평균) 123 2016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표 99> 교육 참여 시 지원 사항 (중복응답) 124 <표 100> 교육 이수 시 혜택 125 <표 101> 인권 관련 내부 규정 마련 여부 126 <표 102> 인권 교육 받은 횟수 (1년간) 127 <표 103> 인권 교육 경험 기관 128 <표 104> 인권 관련 슈퍼비전 및 침해 횟수 (월 평균) 129 <표 105> 처우 개선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점 (1순위) 131 <표 106> 처우 개선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점 (2순위) 132 <표 107> 처우 개선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점 (3순위) 133 <표 108>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조례 중 우선 시행 134 <표 109> 구체적 처우 개선 중요도(1순위) 136 <표 110> 구체적 처우 개선 중요도(2순위) 137 <표 111> 구체적 처우 개선 중요도(3순위) 138 <표 112> 처우 개선 체감 정도 139 <표 113> 처우 개선의 주체 140 <표 114>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 연도별 143 <표 115> 사회복지사 자격증 연도별 발급 현황(누계) 144 <표 116> 사회복지사 자격증 시․도별 발급 현황 145 <표 117> 사회복지사 자격증 성별 발급 현황 146 <표 118> 사회복지사 자격증 학력별 발급 현황 147 <표 119> 사회복지현장실습 등록기관 현황(누계) – 지역별 148 <표 120>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 등록 현황 – 지역별, 성별, 급수별 149 <표 121> 사회복지현장실습 등록기관 실습시간 150 <표 122> 사회복지현장실습 등록기관 1인당 지도인원 151 <표 123> 사회복지현장실습 등록기관 실습비 152 <표 124>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이수자 – 성별 153 <표 125>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이수자 – 자격급수별 153 <표 12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이수자 – 지역별 154 <표 127>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이수자 – 연령별 155 <표 128>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의무・희망대상자 – 연도별 156 <표 129>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교육기관 – 시도별 157 <표 130>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교육영역 현황 158 <표 131>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등록강사 현황 158 <표 132> 응답 시설 소재지 163 <표 133> 시설유형별 연간 예산(세입 및 세출) 규모 167 <표 134> 종사자 현원 168 <표 135> 종사자 고용 유형 169 <표 136> 인적자원개발 어려움 170 <표 137> 보수기준표 유무 172 <표 138> 보수기준표 마련 근거 174 <표 139> 직급별 월 기본급 평균수준 176 <표 140> 응답자 성별 178 <표 141> 응답자 연령 179 <표 142> 사회복지사 자격증 등급 현황 180 <표 143> 응답자의 직장 내 직위 182 <표 144> 업무량 수준 184 <표 145> 직급별 연봉 총액(세전, 평균) 186 <표 146> 직급별 기본급 189 <표 147>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 192 <표 148> 직장 만족도 194 <표 149> 직무 만족도 196 <표 150> 자아 탄력성 198 <표 151> 주관적 행복감 200 <표 152> 업무소진 202 2016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그림목차 [그림 1] 응답 시설 소재지 164 [그림 2] 시설유형별 연간 예산(세입 및 세출) 규모 167 [그림 3] 종사자 현원 168 [그림 4] 종사자 고용 유형 169 [그림 5] 인적자원개발 어려움 171 [그림 6] 보수기준표 유무 173 [그림 7] 보수기준표 마련 근거 175 [그림 8] 직급별 월 기본급 평균수준 177 [그림 9] 응답자 성별 178 [그림 10] 응답자 연령 179 [그림 11] 사회복지사 자격증 등급 현황 181 [그림 12] 응답자의 직장 내 직위 183 [그림 13] 업무량 수준 185 [그림 14] 직급별 연봉 총액(세전, 평균) 188 [그림 15] 직급별 기본급 191 [그림 16]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 193 [그림 17] 직장 만족도 195 [그림 18] 직무 만족도 197 [그림 19] 자아 탄력성 199 [그림 20] 주관적 행복감 201 [그림 21] 업무소진 203


사회복지사 통계연감(현황)






반응형
Comments